1. 라즈베리 파이 부팅
1)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 보드의 소켓에 삽입
2) USB/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연결
3) microHDMI 출력 단자에 모니터를 연결
4) 인터넷 연결을 위해 유선랜 케이블/무선랜 USB 카드 연결
5) 라즈베리파이 보드의 전원단자에 전원장치와 연결된 USB-C 케이블 연결
2. 라즈베리파이 기본 설정
1) raspi-config 켜주기
$ sudo raspi-config
2) Hostname / password 설정
[기본 id: pi/ password: raspberry]
raspi-config > 1. System Options > 1. Change User Password Change password for the current user
3) 카메라 끄기 / VNC 연결
raspi-config > 3. Interface Options > Enable Camera(I1) / Enable VNC(I2,I3)
-해당 아이콘 클릭시 뜨는 화면의 IP 주소 (빨간 네모창)를 VNC viewer의 검색창에 입력
*이 때, 라즈베리파이에 연결된 와이파이와 노트북에 연결된 와이파이가 같아야 주소가 뜸.
Username: xxxx@raspberrypi에서 xxxx인 hostname 입력.
password: 위에서 설정해준 password 입력
VNC viewer로 라즈베리파이 원격 제어 가능!
이까지 해주면 기본적인 라즈베리파이 사용을 위한 준비는 끝!
이외에도 언어 설정, 지역/시간 설정, 키보드 설정 등을 할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설정에 대해서만 설명해보았다. 이제 라즈베리파이를 본격적으로 사용해보자!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라즈베리파이 토양수분센서/릴레이 모듈 (1) | 2023.12.04 |
---|---|
(5) 라즈베리 파이 가변저항 / ADC (1) | 2023.12.04 |
(4) 라즈베리 파이 카메라 제어 (Flask 서버) (1) | 2023.12.03 |
(3) 라즈베리파이 GPIO control (1) | 2023.12.03 |
(2) 라즈베리파이 온습도 센서 연결 (2)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