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7

[프로젝트]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스마트팜 제작 본 게시글의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스마트팜은 'IOT 기초 프로그래밍' 수업의 조별 프로젝트를 통해 제작한 것이다. 스마트팜을 제작한 과정과 사용한 코드에 대해 정리해보자! [하드웨어] 1. 장치 구성 2. 공간분리 [스마트 온실 + 창고] 스마트 온실 | 식물이 생장하는 공간으로, 여러 센서/ 모듈로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간 창고 | 관수통을 넣고 뺄 수 있는 공간으로, 멀티탭, 영양제 등을 넣어두는 창고의 역할도 수행 [컨트롤 박스]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 | 컨트롤 박스 덮개와 여닫이 문을 이용해 암조건을 줌으로써 원하는 광주기로 제어할 수 있으며, LCD 모니터 & 신호등 모듈로 문/덮개를 열지 않고도 스마트 온실 내 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음. 3. 회로 연결 [센서/모듈].. 2024. 1. 23.
(6) 라즈베리파이 토양수분센서/릴레이 모듈 토양 수분 센서 저항측정 방식의 토양습도센서 : 전류를 흘려보내 다른 전극과의 저항값을 계산하는 방법 , 물은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체이므로 토양 수분 함량이 높으면 저항치가 낮을 것이고, 수분함량이 낮으면 저항값이 높게 측정될 것 토양의 수분과 저항/전압의 관계 => 토양수분함량(%) 증가 시 , 전압과 저항값 감소 정전용량 방식의 토양습도센서 : 토양 내 수분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의 센서로 토양을 하나의 유전체(절연체)로 보고 수분 함량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를 측정한다. (토양 수분이 증가 -> 토양 유전율 증가 -> 정전용량 증가) [실습] 토양습도센서의 출력 전압(Vout)을 MCP3008을 통해 ADC 통신하여 전압값 읽기 *자세한 ADC 통신에 대한 내용은 해당글 참고. .. 2023. 12. 4.
(5) 라즈베리 파이 가변저항 / ADC [저항기] 종류 : 고정 저항기 + 가변 저항기 [저항기의 symbol] 1. 고정 저항기 : 고정된 저항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칼라 코드나 숫자 코드로 표시되어 있음. 2. 가변 저항기 : 전자회로에서 저항값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저항기로, 저항을 바꾸면 전류의 크기도 바뀜. 소자의 특성상 3단자인 경우가 많고 일반적으로 회전형이 많이 사용되며 분압기를 구성함. *분압기: 샤프트나 손잡이를 회전시켜 회로의 전압을 저항치에 따라 그 분압비율로 가변된 전압을 얻도록 하는 전자소자 1핀과 3핀 단자 사이는 고정 저항이며그 위에 2핀 단자와 연결된 와이퍼(조절 슬라이더)가 위치 이동을 하며 저항값을 변화시킴. 전원, 그라운드 순서로 연결했을 시에는 가운데 2번 핀을 우측으로 돌리면, 저항을 최.. 2023. 12. 4.
(4) 라즈베리 파이 카메라 제어 (Flask 서버) 1. 라즈베리파이에 카메라 모듈 연결 2. 카메라 장치 설정 raspi-config > 3. Interface Options > Legacy Camera(I1) > YES 후 재부팅 sudo raspi-config 3. 카메라 실행 1) raspistill 명령어 raspistill -o img.jpg #카메라 촬영 (img: 파일 이름, 기본 시간은 5초 뒤 촬영) raspistill -t 2000 -o img.jpg #-t의 단위는 밀리초, 2초뒤에 촬영 raspistill -vf -hf -o img.jpg #상하 좌우 반전 2) raspivid 명령어 raspivid -o vid.h264 #동영상 촬영 (vid: 파일이름) #확장자 h264->mp4로 바꾸는 법 sudo apt-get install.. 2023. 12. 3.
LIST